CBR-1000RR에 로케트 배터리 STX9-BS 를 사용했을때....
장미
☆ 질문 전검색후 질문해주세요 ☆ (양식 준수하지 않을경우무통보 삭제)
1. 차종 및 제조회사 : CBR-1000RR
2. 제조년식 및 주행거리 : 2005년식 19000km
3. 상세한 질문 내용.(최근 정비 내역 기재 혹은 사진첨부)
처음 구매했을 때 YUASA 정품 배터리가 들어 있었지만 방전되어 성능이 떨어진 후
로케트 배터리 STX9-BS 를사용하고 있는데요.
이렇게 정품이 아닌제품을 사용했을 때 제너레이터나 레귤레이터에 영향이 있을 가능성이 있을까요?
정품 YUASA 제품과는 암페어의 차이가 있어서 걱정되어 질문드립니다
-
오나미
덧붙이자면 성능으로 놓고 봤을 때는 순정과 중국산 배터리의 차이가 분명히 있습니다. 특히 냉간시동성과 자연방전특성에서 순정이 심하게 앞서갑니다.
저같은 경우는 겨울철에는 배터리를 분리해서 방안에 보관합니다. -
벛꽃잎
천알알에 로케트도 아니고 그냥 사이즈맞는 중국산 싸구려 배터리 달아서 3년째 잘 쓰고 있습니다. 순정이나 중국산이나 레귤쪽에서 바라보는 전기적 특성은 비슷하기 때문에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혹시 hid나 led등의 전기쪽 튜닝용품을 다셨는지요? 대부분의 바이크가 그렇지만 특히 요즘 레플리카 바이크들은 소형 경량화를 위해 발전성능도 매우 타이트하게 설계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
찬들
사이즈가 맞나요? 미세하게 높아서 시트 안닫힌다고 하던데요. 단지 로켓트는 베터리 cca 가 순정이랑 맞는지 자료를 찾을수가 없네요
-
훌림목
규격만 맞으면 상관 없습니다...
로케트에서 유아사 OEM 생산도 했었는걸요... -
중독적
배터리는 시동시에 주로 사용되고 이후에는 레귤의 대부분을 감당합니다.
레귤이나 코일이 고낭난다면 배선쪽을 점검하심이 먼저입니다.
오토바이에는 자기용량보다 높은 전기장치들을 다는경우가 많습니다 .
led 도 백여발쯤 되면 55w 할로겐 전구 만큼 먹습니다.
불필요한 전기장치는 떼어네시는게 바이크의 전기유지에 도움이 됩니다. -
봄바람
문제 생기면 다른 원인이 있는 것이지 배터리 때문은 아닙니다.
-
비치
허허 전 레귤쪽 문제생기던데요 기종은 06 600rr입니다
-
주인님
참고로 04 05년 천알알들이 제너레이터 쪽이 약해서 잘 나간다고 합니다. 개선품으로 교체하거나 재생하면 될듯 합니다. 바튜매에도 검색해 보시면 비슷한 사례가 몇개 있습니다.
-
나미
그럼....제너레이터 고장의 원인이 배터리는 아니었나보네요 ㅠㅠ 감사합니다
-
너만을
전혀 없습니다
유아사 그대로 쓰는분 별루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