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다 지쳐서 올립니다 연결자료리스트 ㅠㅠ답변좀 꼭부탁요
아인
질문 내용 : 문제는 단순 연결 리스트로 만들어진 다항식 A(다항식의 차수, 내림차순으로 계수들 -런 형식 저장 예를들면 4 3 0 5 1 이면 3x^4 + 5x^2 + 1)을 만들고
또 mulpoly(A,c,e) 라는 함수를 만들고 이 함수는 A라는 다항식과 다른 다항식의 c(계수) e (지수)를 곱한 값을 반환 하 는 함수를 짠후 addpoly 라는 함수를 만들어서 다 더해서 같은거 처리해주는게 문젠데..
지금까지 진행 상황은 listnode 라는 노드 구조체 와 headlist 헤드 구조체를 만들었고 파일에서 불른 다항식 정보를 저장했고
근데 정작 곱하는걸 못하겠네요.. 말했듯이 첫번째 다항식과 두번째의 한개의 항을곱한걸
리턴한것들을 addpoly 라는 함수를 만들어서 더하면서 원래 형식대로 저장하는게 문젠대..
제 머리론 도저히........
밑에는 제가 지금까지 한거입니다#includestdio.h
#includestdlib.h
typedef struct Listnode{
float coef;
int expo;
struct Listnode *next;
}listnode;
typedef struct Headnode{ //헤드 노드
listnode *head;
}headnode;
headnode* createheadnode(void) //헤드 노드 구성
{
headnode *L;
L=(headnode*)malloc(sizeof(headnode));
L-head=NULL;
return L;
}
listnode* getnode(headnode *a) // 노드 만들어 주기
{
listnode *newnode;
listnode *p;
newnode=(listnode*)malloc(sizeof(listnode));
p=(listnode*)malloc(sizeof(listnode));
newnode-next=NULL;
if(a-head==NULL)
{
a-head=newnode;
}
p-next=a-head;
while(p-next!=NULL) p=p-next;
p-next=NULL;
return newnode;
}
void freeall(headnode *H) // 헤드 노드 프리
{
listnode *p;
while(H-head!=NULL)
{
p=H-head;
H-head=H-head-next;
free(p);
p=NULL;
}
}
listnode* mulpoly(listnode *a,float c,int expo) //다항식 A의 전 항과 다항식 하나 원소의 곱
{
int j=0;
listnode *A3;
A3=(listnode*)malloc(sizeof(listnode));
while(a[j].next==NULL)
{
A3[j].coef=a[j].coef*c;
A3[j].expo=a[j].expo+expo;
j++;
}
return A3;
}void main()
{
int i,j;
int poly,copiedpoly,poly2,copiedpoly2;
headnode *H;
listnode *A;
headnode *H2;
listnode *A2;
headnode *H3;
listnode *A3;
FILE *fp;
//--------잠시 저장용-------//
fp=fopen(test.dat,wb);
fputs(5 2 3 0 1 3 0 4 3 1 2 2 -10,fp);
fclose(fp);
//----------Headnode 생성-----------//
H=createheadnode();
fp=fopen(test.dat,rb);fscanf(fp,%d,&poly);
for(i=0; ipoly+1; i++) // 상수항까지 합하면 항 하나 더있어서 +1
{
A=getnode(H);
}
copiedpoly=poly; //밑에 포문에서 뺄셈때매 폴리가 바껴서 복사해놈
for(i=0; ipoly+1; i++)
{
fscanf(fp,%f,&A[i].coef);
}
for(i=0; ipoly+1; i++)
{
if(A[i].coef==0)
{
printf(다항식에 계수 0인 횟수\n);
A[i].expo=0; //계수가 0인항, 한마디로 존재 하지 않는 곳엔 차수에 0 들어가있음
copiedpoly-=1;
}
else
{
A[i].expo=copiedpoly; // 계수를 하나씩 떨어뜨리면서 그걸 expo에 넣어줌
copiedpoly-=1;
}
}
for(i=0; ipoly+1; i++) //차수 +1 개 만큼 해야 다 출력
{
printf(expo[%d] 는 %d\n,i,A[i].expo);
printf(coef[%d] 는 %f\n,i,A[i].coef);
}
//----------------------다항식 A 입력 부분 끝---------------------//
printf(------------다항식 2------------------\n);
H2=createheadnode();fscanf(fp,%d,&poly2);
copiedpoly2=poly2; //밑에 포문에서 뺄셈때매 폴리가 바껴서 복사해놈for(i=0; ipoly2+1; i++)
{
A2=getnode(H2);
}
printf(다항식 2의 차수는 %d 입니다 \n,poly2);for(i=0; ipoly2+1; i++)
{
fscanf(fp,%f,&A2[i].coef);
}
for(i=0; ipoly2+1; i++)
{
if(A2[i].coef==0)
{
printf(다항식2 에 계수 0인 횟수\n);
A2[i].expo=0; //계수가 0인항, 한마디로 존재 하지 않는 곳엔 차수에 0 들어가있음
copiedpoly2-=1;
}
else
{
A2[i].expo=copiedpoly2; // 계수를 하나씩 떨어뜨리면서 그걸 expo에 넣어줌
copiedpoly2-=1;
}
}
for(i=0; ipoly2+1; i++) //차수 +1 개 만큼 해야 다 출력
{
printf(expo[%d] 는 %d\n,i,A2[i].expo);
printf(coef[%d] 는 %f\n,i,A2[i].coef);
}
//------------------------다항식 2 끝----------------------//
printf(------------다항식 3(결과값)------------------\n);
H3=createheadnode();for(i=0; ipoly2+poly; i++)
{
A3=getnode(H3);
}
//-------------------이 밑부터 짜다가 모르겠어서..-------------------------------------//
H3=(headnode*)malloc(sizeof(headnode));
for(i=0; i4; i++)
{
printf(계수 %f 지수 %d \n,A2[i].coef,A2[i].expo);
H3[i].head=mulpoly(A,A2[i].coef,A2[i].expo);
}
for(i=0; i3; i++)
{
printf(계수 %f 지수 %d \n,H3[i].head,A3[i].expo);
}
freeall(H);
freeall(H2);ll(H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