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명 좀 부탁드립니다.
감춰왔던
먼저 포인터를 이용한 스왑 함수인데요
void swap(int *p1, int *p2)
{
int temp;
temp=*p1;
*p1=*p2;
*p2=temp;
}
1. 위에 같은 경우에는 예를들어 p1을 통해서 참조한 값이 정수형 10 이라 하면 10을 템프에 저장한다음 스왑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즉 정수형 10이라는 값을 템프에 옮겨 놓고 바꾸는거죠... 맞습니까?
이번에는 더블포인터인데요 더블포인터를 이용한 스왑인데 싱글포인터의 주소를 바꾸는지 아니면 값 자체를 자꾸는 지 이해를 헷갈립니다.
int main(void)
{
int n=10;
int n1=20;
int *p1=&n;
int *p2=&n1;
pswap(&p1,&p2);
return 0;
}
void pswap(int **a, int **b)
{
int *temp;
temp=*a;
*a=*b;
*b=temp;
}
매개변수 a,b는 더블 포인터인데요.
*a 이것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 이해를 못하겠습니다.
a가 더블 포인터이고 *붙여서 참조를 하니까 더블포인터에 저장되어 있는 주소값
즉 싱글포인터 p1 주소값을 참조 하는 것입니까?
그래서 싱글포인터들의 주소값을 스왑하는 것입니까?
그런데 책에 그림으로는 싱글포인터가 가리키는 값 즉 10 과 20 을 바꾸던데....
이해가 안갑니다...ㅠ
-
파이팅
수다님 %p 가 뭡니까 뭘 printf 해서 알아보신겁니까?
제 생각이 맞다는 것입니까? -
나슬
와.... 대단하시다 -ㅅ- 포인터 헷갈리던데 ㅠㅠ
-
보라나
pswap함수에서 인자값을 2차원 포인터를 사용 합니다. 즉 인자값 **a는 실질적으로 10이라는 인자값을 받는 거죠, **a를 풀어보면 의문이 해결 될겁니다. 1차원부터 천천히 올라 가게되면 *a는 &p1의 주소값을 받습니다 p1에는 &n1의 주소값이 들어 있습니다. 그러므로p1은 n1을 가리키게 되므로, 변수의 값 10과 20을 바로 맞바꾸는 형태가 되는거죠, 함수안에서 1차원 포인터로 해결을 하지만 인자값으로 2차원을 포인터를 받기 때문에 바꿀
-
아이뻐
무플방지위원회
!! -
큰돛
수다님은 신이셔..
-
딥핑크
결과는 이렇게 나오네요..
0022FF74[10:10] 0022FF70[20:20]
0022FF70[20:10] 0022FF74[10:20]
p1과 p2의 주소값이 바뀌는 겁니다.. 그래서 n과 n1은 그대로입니다. -
도래솔
\tprintf(\%p[%d:%d]\\t%p[%d:%d]\\n\ , p1 , *p1 , n , p2 , *p2 , n1 ) ;
pswap(&p1,&p2);
\tprintf(\%p[%d:%d]\\t%p[%d:%d]\\n\ , p1 , *p1 , n , p2 , *p2 , n1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