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언어와 명령어 ? 에대해서 질문좀 드릴게요
튼싹
C언어 질문
{
int k, e, m, sum;
double avg;
printf(국어점수 : ); // printf = 출력, 출력이 되게끔한후
scanf(%d, &k); // scanf = 입력, 키보드로 값을 입력할수 있게 한다.?
printf(영어점수 : );
scanf(%d, &e);
printf(수학점수 :);
scanf(%d, &m);
sum = k+e+m;
avg = (double)sum / 3.0;
printf(합 : %d, 평균 : %10.2lf \n, sum, avg);
에서
왜 마지막인 printf(합 : %d, 평균 : %10.2lf \n, sum, avg); 부분에서
평균 부분에 왜 %10.2lf 가 들어가는지 궁금합니다. lf가 double 형 실수라는건 알겠는데
왜 10.2가 꼭들어가야하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double day, sig, bun, cho;
int i_day, i_sig, i_bun;
day = 365.2422;
i_day = (int) day;
sig = (day - i_day) * 24.0;
i_sig = (int) sig;
bun = (sig - i_sig) * 60.0;
i_bun = (int) bun;
cho = (bun - i_bun) * 60.0;
printf(1년은 %d일 %d시간 %d분 %lf초 입니다. \n, i_day, i_sig, i_bun, cho);
부분에서
i_day,i_sig,i_bun이 나오는데 .. 왜 i_를 쓰는지도 알고싶습니다.
(1) day, 날짜에서 왜 i_day를 하죠 ?? 하루를 24시간으로 나누는데 왜 i_day를 쓰는지 모르겠습니다.
i_라는게 어떠한 기능을 가지는지도 궁금합니다.
이해가 잘 되지않아 질문드립니다. 아직왕초보입니다.많이 알려주십시여 .. (__)
질문 내용 :
-
유메
아하 그렇군요 댓글 감사합니다 ^^
-
아잉
음.. %10.2lf 는 최소 10칸을 표현하고, 소수점 2자리까지만 나타낸다는 뜻입니다. 즉, 표현하려는 수가 456.234인 경우라면, 앞에 4칸의 공백이 있고, 456.23 이라는 수가 출력되게 됩니다.
개인적으로 출력창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이렇게 사용하는거라고 생각되구요.
두번째 i_day 이건 변수이름입니다. 함수가 아니구요. int i_day라는 것은 i_day라는 이름의 int타입 변수를 선언한다는 뜻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