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준웹에서의 text 설정
민혁
리뉴얼중인 업체와 클라이언트 사이에 충돌이 발생하였는데요,
클라이언트의 입장은 브라우저에서 보기텍스트 크기의 설정에도 변화 없이 고정으로 보이는게 좋다와
리뉴?P리뉴얼 업체에서는 웹표준을 준수하여 작업 하기 때문에 크기에 유동적으로 변하도록 작업해서 그렇다
라고 충돌이 생겼답니다.
body {
color: #6b6b6b;
font-size: 1em;
font-family: Dotum, 돋움, verdana, arial;
scrollbar-face-color: #fff;
scrollbar-highlight-color: #d4ced0;
scrollbar-shadow-color: #d4ced0;
scrollbar-3dlight-color: #fff;
scrollbar-darkshadow-color: #fff;
scrollbar-track-color: #f2f2f2;
scrollbar-arrow-color: #d4ced0;
}
이렇게 body 부터 1em으로 설정을 해 놓았고,
/* 폰트크기 */
.sf0 { font-size: 0;}
.sf1 { font-size: 0.9em;}
.sf2 { font-size: 0.8em;}
.sf3 { font-size: 0.7em;}
.sf4 { font-size: 0.6em;}
.sf5 { font-size: 0.5em;}
.bf1 { font-size: 1.1em;}
.bf2 { font-size: 1.2em;}
.bf3 { font-size: 1.3em;}
.bf4 { font-size: 1.4em;}
.bf5 { font-size: 1.5em;}
이와 같이 모든 텍스트의 설정을 em단위로 설정해 놓았습니다.
리뉴얼 담당 업체측에서는 웹표준이기 때문에 이 방식이 맞다. 라고 하는데요.
제가 혼동이 되는것이. 여태 웹표준을 준수 하려면 em단위를 써야 한다는 식의 말은 접해 본적이 없었기 때문에,
텍스트 크기 설정에 따라 변해야 하고, 그리 하려면 em을 쓰는것이 웹표준에 맞는것이다라고 주장하는 점이 정말 맞는 것이지요?
(네이버를 예로 든다면 네이버의 경우는 텍스트 고정이고, 기본이 px단위로 알고 있습니다.)
-
연다홍
그리고 여담이지만 위처럼 font-size등을 따로 클래스를 잡아두면
해당 컨텐츠의 폰트 사이즈가 바뀌면 개발영역까지 가서 변경해줘야하는 부담이 생길수있기때문에
추천하지 않는 스타일방식입니다. -
4차원
em 은 폰트에 사용되는 글꼴단위입니다.
할려면 다하든가라는 말씀은 레이아웃에도 em 으로 사용해야된다는건가요?!
레이아웃까진 무리지만 박스디자인을 예로 들어서 말해보겠습니다. 익스6에서 텍스트크기를 가장 크게로 설정하였을 경우 그 크기만큼 계산해서 박스크기가 자동으로 늘어나게끔 처리해준다면 큰무리없습니다.
아울러 텍스트가 커지면 고정된 레이아웃에서는 레이아웃을 벗어나지 않고 자동으로 텍스트가 떨어지더군요.. 텍스트가 아래로 떨어지는 만큼 디자인된 -
남
왜 폰트만em을 하라고할까요?
할려면 다 em을 하던가 아니면 px을 하던가 하셔야합니다.
글자만 커저봤자;; 레이아웃이 고정이면 -_-; 컨텐츠가 잘려서 못읽을수있으니 오히려 접근성을 해칠수있습니다. -
봄바람
저는 px에 몰표..
-
나오
웹접근성 측면에서 생각해볼 문제 인거 같습니다. \유동적으로 변하도록 작업\ 하는 리뉴얼 업체의 손!
그리고 네이버의 예는 좀 아닌거 같습니다-_- -
차오름
em단위가 어려워서 저는 %를 쓰는데요. 75%하면 12px되서 나머지들도 %로 조절해요. 화면전체말구 신문기사같은곳에 보면 기사부분글자만 키우는게 있어서 이것도 경우에 따라 다른것같어요. 질문~~/ 부분적으로도 화면이 커지나용? 그쪽부분은 잘 몰라서.. ^^;;;
-
목화
em에 한표.
-
하늘
H 사이트리뉴얼 css소스이군요..웹표준을 준수 하려면 em단위를 써야 한다라고 들으신게 확실한가요?
익스 6사용자중에 저시력자 배려를위한 텍스트사이즈조절 지원을 위해 em 으로 간걸로 알고있습니다. -
난초
질문 드려요~ em 설정 후 브라우저에서 글자 크기 조절 방법이 어떻게 되나요?
-
볼수록매력
em에 한표더.. 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