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려
그 프로젝트는 결국 실패였지만, 그 결과 자바라는 언어가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그 프로젝트에서 프로그래밍 언어를 개발하고 쪽을 맡은 분이 자바의 아버지 고슬링이라고 하네요.)
-
보단
처음 자바가 활용된 곳이 가전제품들이었다는 것은 맞습니다. 초기에 고슬링 및 동료들이 유비쿼터스 개념의 환경을 개발하고자 하였는데, 그 적용대상으로 선택된 것이 가전제품이었습니다. 따라서 다양한 가전제품들을 쉽고 동일한 환경하에서 컨트롤 할 수 있는 장치 및 프로그래밍 언어를 개발하기 시작했죠!
-
고양이
자바가 시스템에 종속되지 않는다는것은 동의합니다. 다만 JVM은 시스템에 종속적이죠. 따라서 자바로 하드웨어를 제어할 수 있다고 봅니다. 하드웨어를 제어하기 위한 API가 존재한다면 말이죠. ^^
-
지후
음... 하드웨어 자체에서 그러니까 칩단에서 자바를 지원한다면, 자바로 제어하면 되겠죠. 그런데, 대부분의 하드웨어를 제어하는 시스템프로그램들이 보통 c언어로 개발이 됩니다. 그러니까, 자바로 사용하기는 어렵겠죠. 그리고, 씨를 연동하려고 한다면 굳히 자바로 만들 필요가 있는가 하는 질문이 나오게 됩니다. 결국, 대다수 기업들이 시스템 프로그래밍으로 c를 사용하게 되죠. ^^; 앞으로 어찌 될지는 모르겠지만... 수다님이 질문하신 내용같은 경우는 vc+
-
꽃짱구
그런데 제가 어디서 줏어 듣기로는 원래 자바가 냉장고나 가전제품 제어에 활용되었다는제...
잘못들은 얘기 인가요... 그래서 제가 아는 형님도 PLC기판 제어 하는 쪽일도 하셔서 퀄리티가 높다고도
말씀하셨었거든요.. 잘못 들은 얘긴가요... -
모아
JNI를 이용해서 자바와 씨를 합체 시켜 사용하면 될까요?
-
마루한
아 그렇군요! 자바로 힘든게 있네요 ㅎ 다 될줄 알았는데 만능은 아닌가봐요 ㅋ
-
늘찬
자바로는 않됩니다. 자바로 시스템을 제어하겠다라는 생각은 피하시는게 좋습니다. 자바의 특징이 시스템에 종속되지 않는다는 거라는것을 생각할때 반대로, 시스템 제어 역시 힘들다는 것을 이해하셨으면 합니다.